2021
2020
2021
연도 | 수상자 | 소속 | 수상논문 |
---|---|---|---|
2024 | 김성은 | 인제대해운대백병원 | Pivotal Role of Subcortical Structures as a Network Hub in Focal Epilepsy: Evidence from Graph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Diffusion-Tensor Imaging |
조용원 | 계명대동산병원 | Epidemiology of Insomnia in Korean Adult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 |
2023 | 김지수 | 분당서울대병원 |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
박정욱 | 가톨릭대의정부성모병원 | Headache Impact Test-6 (HIT-6) Scores for Migraine Patients: Their Relation to Disability as Measured from a Headache Diary | |
2022 | 주은연 | 삼성서울병원 | The Relationship between Hippocampal Volume and Cogni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Primary Insomnia |
최재철 | 제주대학교병원 | Validation of Stroke and Thrombolytic Therapy in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 Data | |
2021 | 김지은 | 이화의대서울병원 | Neurological Complications during Treatment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
이애영 | 충남대병원 |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with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Combined with Cognitive Training: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 |
2020 | 석정임 | 대구가톨릭의대 | Residual Dizziness after Successful Reposition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
2019 | 정선주 | 울산의대 | Drug-Induced Parkinsonism |
2018 | 조용원 | 계명의대 |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
2017 | 박성파 | 경북의대 | Depression and Anxiety in People with Epilepsy |
2016 | 천상명 | 동아의대 | Elevated Levels of alpha-Synuclein Oligomer in the Cerebrospinal Fluid of Drug-Naive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
2015 | 장대일 | 경희의대 | Plaque Rupture is a Determinant of Vascular Events in Carotid Artery Atherosclerotic Disease: Involvement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2 and 9 |
2014 | 노재규 | 서울의대 | Increased Circulating Endothelial Microparticles and Carotid Atherosclerosis in Obstructive Sleep Apnea |
2013 | 박성파 | 경북의대 | Cognitiv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연도 | 수상자 | 소속 | 수상논문 |
---|---|---|---|
2023 | 김민희 | 경북대병원 | 심장 유두모양 섬유탄력종의 박리에 의한 급성뇌경색 |
2022 | 한지은 | 서울대병원 | 발렌버그증후군 환자에서 감각 증상에 따른 양쪽 피부 온도 차이 |
김재림 | 삼성서울병원 | Sex Differences in Obstructive Sleep Apnea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
2021 | 이수현 | 이화의대목동병원 | 저체온요법을 사용한 심정지 후 환자에서 정량적 뇌파 분석을 통한 신경학적 예후 예측 |
2020 | 김지아 | 중앙의대 |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동반한 급성 뇌경색 환자의 특징 |
이준석 | 계명의대 | 남녀 고등학생들에서 수면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 |
김현재 | 아주의대 | Cerebrospinal Fluid Levels of β-Amyloid 40 and β-Amyloid 42 are Proportionately Decreased in Amyloid Positron-Emission Tomography Negative Idiopathic Normal-Pressure Hydrocephalus Patients | |
2019 | 오단아 | 인하의대 | Electroencephalographic Abnormalities in the Screening for Pilot Applicants in Korea |
최경선 | 이화의대 | Age-Specifc Cutof Scores on a T1-Weighted Axial Medial Temporal-Lobe Atrophy Visual Rating Scale in Alzheimer’s Disease Using Clinical Research Center for Dementia of South Korea Data | |
김수영 | 충남의대 | 파킨슨병에서 기립저혈압과 인지 기능의 관계 | |
이상우 | 순천향의대 | 메트로니다졸 독성 뇌병증으로 인한 안구운동발작 | |
2018 | 이영건 | 연세의대 | Early-Onset LMNA-Associated Dystrophy with Later Involvement of Contracture |
2017 | 신동원 | 순천향의대 | Numbers of Stroke Patients and Stroke Subtypes According to Highest and Lowest Daily Temperatures in Seoul |
정의성 | 을지의대 |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콩팥기능 감소와 뇌경색 부피와의 상관관계 | |
한철수 | 연세의대 | 단일기관에서의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2형 수막염의 임상특성 | |
2016 | 김율희 | 한림의대 | Utility of the Midbrain Tegmentum Diameter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from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
윤별아 | 동아의대 | Effect of Carotid Artery Stenting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Carotid Artery Stenosis: A Prospective, 3-Month-Follow-Up Study | |
강여정 | 순천향의대 | 파킨슨병 환자에서 심혈관계 지표를 이용한 자율신경기능 평가 | |
신현준 | 전북의대 | 경부 전정유발근전위와 외안근 전정유발근전위의 동시 측정 | |
2015 | 신혜영 | 가천의대 | Sleep Problems Associated wi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and Cognitive Functionsin Alzheimer’s Disease |
임정아 | 서울의대 | Anti-N-methyl-D-aspartate receptor encephalitis in Korea: Clinical features, treatment, and outcome | |
주재정 | 보훈공단 중앙보훈병원 | 3,4,5-Tricaffeoylquinic acid가 파킨슨증후군 유발독소 1-methyl-4-phenylpyridinium에 의한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억제효과 | |
이은경 | 을지의대 | 제한형 전신경화증 환자에서 발생한 만성염증탈수초다발신경병 | |
2014 | 김동은 | 전남의대 | Juxtacortical Spots on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s in Cryptogenic Transient Ischemic Attack |
박진 | 이화의대 | Exome sequencing reveals a novel PRPS1 mutation in a family with CMTX5 without optic atrophy | |
이경재 | 충남의대 | 아토피척수염의 특징 및 개회충 척수염과의 연관성 | |
이민재 | 대구가톨릭의대 | 급성 속섬유막경색 후 발생한 상하지 안절부절증 | |
2013 | 오지은 | 충남의대 | Effect of Cardiac Function on Cognition and Brain Structural Changes in Dementia |
정가원 | 가톨릭의대 | Coexisting Carotid Atherosclerosis in Patients with Intracranial Small- or Large-Vessel Disease | |
문장섭 | 서울의대 | 뇌미세혈관병증 3가지 표식과 열공뇌경색 초기 신경학적 악화와의 관련성 | |
이선화 | 중앙보훈병원 | 플라보노이드 luteolin이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활성 억제를 통해 6-hydroxydopamine 세포독성에 미치는 억제효과 | |
2012 | 이익성 | 가톨릭의대 | Leukoencephalopathy and Akinetic Mutism in a Married Couple: A Probable Association with Oriental Medicine |
선우문경 | 연세의대 | Parkinsonism Associated with Glucocerebrosidase Mutation | |
황정연 | 서울보훈병원 | 콜레스테롤 산화 생성물 7-Ketocholesterol에 의한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억제의 효과 | |
김동은 | 전남의대 | 후방 순환 뇌경색 환자에서 초기 신경학적 악화의 예측 인자로서 액체감쇠역전회복 자기공명영상의 고신호혈관징후 | |
2011 | 양준규 | 계명의대 | 한국판 국제하지불안척도와 하지불안증후군 삶의 질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윤금진 | 전남의대 | 전정신경염에서 후방 순환의 혈관분포에 관한 분석 | |
임혜원 | 경북의대 | Predictors for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epilepsy living in Korea | |
배효진 | 동아의대 | Prehospital notification from EMS enhances the shortening of transfer and intra-hospital processing times for acute stroke patients | |
2010 | 안경모 | 서울보훈병원 | 사립체 매개성 세포사멸 억제를 통한 prostaglandin E2의 7-ketocholesterol 유발 세포독성 보호효과 |
이웅우 | 서울의대 | 급성 두개내 동맥 폐색의 예후 및 결정 인자 | |
김성래 | 인하의대 | Plasma Total Homocysteine Levels Are Not Associated with Medial Temporal Lobe Atrophy, but with White Matter Changes in Alzheimer’s Disease | |
김나영 | 을지의대 | Aggressive Glucose Control for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by Insulin Infusion (AGAIN) | |
2009 | 송화석 | 성균관의대 | Cardiac troponin T elevation after strok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vated serum troponin T, stroke location, and prognosis |
이수윤 | 동아의대 | Cilostazol Reduce the PAC-1 expression on platelets in Ischemic Stroke | |
최강호 | 전남의대 | 혈청 중성 지방과 급성 허혈성 뇌경색의 조기 예후와의 관계 | |
배기윤 | 계명의대 | 내경동맥 근위부의 협착 및 폐쇄에 의한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응급 경동맥 스텐트술 | |
2008 | 서종근 | 경북의대 | Comparison of Cognitive Effects of Lamotrigine and Oxcarbazepine in Epilepsy Patients |
이정화 | 이화의대 | A Family Harboring CMT1A Duplication and HNPP Deletion | |
여승현 | 아주의대 | 파킨슨병과 다계통 위축증 환자들에서 후각기능 및후각기능과 심장 123I-MIBG섭취율과의 연관성 | |
윤진영 | 성균관의대 | 폐쇄성 수면 무호흡-저호흡 증후군 환자의 자기공명검사를 이용한 상기도 분석 | |
2007 | 신희영 | 성균관의대 | 중뇌동맥 영역의 급성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경두개 초음파의 미세색전과 확산 강조영상에서 보이는 뇌경색 병변과의 관계 |
원요섭 | 연세의대 | 전압의존형칼륨통로 항체와 연관된 비부수종양성 변연계뇌염 1예 | |
김선영 | 경북의대 | Cognitive Effects of Low-dose Topiramate as Compared with Oxcarbazepine in Epilepsy Patients | |
김예성 | 충남의대 | Classification and Serial Evolution of PLEDs | |
2006 | 김지선 | 충남의대 | Safety and feasibilty of subcutaneous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for cerebral venous thrombosis |
임의성 | 전북의대 | Relationship between essential tremor and cerebellar dysfunction according to age | |
조현지 | 이화의대 | CMT 환자들에서 Neurofilament light chain (NEFL) 유전자 돌연변이 분석 | |
오영미 | 동아의대 | 국소 소뇌 병변에서 발생한 주기성교대안진 | |
2005 | 전상범 | 울산의대 | 급성기 뇌졸중에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혈전용해술에 대한 결과 분석 -자기공명영상 소견이 혈전용해술의 가능 시간을 연장할 수 있나?- |
나상준 | 연세의대 | Dystrophinopathy 환자에서 임상적, 면역조직화학적 및 유전학적 분석 | |
이진수 | 아주의대 | 진행성 기저동맥 뇌경색 환자들에서 나타난 자동디딤증 | |
신동선 | 중앙의대 | 순수어농을 보인 MELAS 증후군 1예 | |
2004 | 오세호 | 아주의대 | 중대뇌동맥과 내경동맥 죽상경화증 환자에서 임상 및 신경방사선적 양상의 비교 |
박민정 | 동아의대 | 동맥경화성 뇌경색 환자들에서 90일간의 혈소판 활성도의 연속적 변화 | |
성임숙 | 경상의대 | 아세톤에 의해 발생한 파킨슨증후군 1예 | |
김영대 | 연세의대 | Critical illness myopathy 1예 | |
2003 | 김미라 | 인하의대 | 간질파 국소화에서 파형분석과 로레타 방법의 비교 |
김준태 | 전남의대 | 급성기 허혈성 뇌경색에서 perfusion CT의 임상적 유용성 | |
신진홍 | 부산의대 | Anti-Hu 항체 양성 부수종야성 아급성 감감신경원병증 1예 | |
문소영 | 성균관의대 | 후두엽성 복합 부분 발작의 간질 중첩증으로 발현된 비케톤성 고혈당증 | |
2002 | 김은주 | 부산의대 | Tolosa-Hunt 증후군을 동반한 특발성 비후성 뇌성 경뇌막염 1예 |
권오대 | 계명의대 | 내측측두엽간질 환자에서 재단식 측두엽 절제술이 사고력과 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 |
배종석 | 한림의대 |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의 정맥내 r-tPA 혈전용해치료법 : 장기 예후에 대한 초기 신경학적 호전의 의의 | |
서상원 | 연세의대 | Thyrotoxic Autoimmune Encephalopathy 1예 | |
2001 | 이용만 | 충남의대 | Kainic acid에 의해 유발된 간질중첩증에서 쥐의 발작양상과 뇌파의 특징 |
김규식 | 연세의대 | 고칼륨현증 주기성마비 환자의 운동 및 한기유발검사에 의한 전기생리학적 변화 | |
1999 | 이경열 | 연세의대 | 탈수초성 말초신경병증의 진단 및 추적관찰에 있어서 신경전도검사표준화의 유용성 |
1998 | 이정욱 | 가톨릭의대 | 만성적 망간 노출자들의 양상에 대한 고찰-임상적 생화학적, 영상학적 측면 |
1997 | 유경호 | 한림의대 | 대뇌 국소 허혈성 병변이 후속되는 허혈손상에 미치는 보호효과 |
1996 | 신기춘 | 전남의대 | 간질에 대한 개원의의 태도와 치료현황에 관한 연구 |
이향운 | 이화의대 | The effects of peripheral leukocytes to the neuronal changes of hippocampus after global ischemia and to the lateral hemispheric infarction | |
1994 | 김우정 | 중앙의대 | 편측안면경련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순목반사검사와 근번도검사를 이용한 병인론적접근 및 그 유용성 |
1993 | 서대원 | 서울의대 | 한국인의 중증 근무력증 환자에서의 HLA type에 관한 연구 |
연도 | 수상자 | 소속 | 수상논문 |
---|---|---|---|
2024 | 박찬욱 | 연세대세브란스병원 | CRISPR/Cas9 시스템을 이용한 삼핵산 반복서열 증가를 가진 신경세포핵내봉입체병의 기능적 정상화에 관한 연구 |
2023 | 오미영 | 부천세종병원 | 수술 전 변수 및 수술중 혈역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주술기 뇌경색 실시간 예측 모델 |
2022 | 편정민 | 순천향대서울병원 | 시냅스 단백질 관련 유전자의 전사체 발현과 알츠하이머병 병리와의 상관관계 규명 |
2021 | 박수현 | 인하대학교의과대학부속병원 | 인지 기능 저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장내 미생물총 분석과 대변 미생물총 이식의 인지 기능 영향에 대한 확인 연구 |
2020 | 안성호 | 부산의대 | 자율신경계 이상반응과 연계된 정량적 생체신호 기반의 중환자실내 신경계 합병증 조기감지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유효성 평가: 근적외선 분광분석법을 활용한 뇌혈류 자동조절력 평 |
2019 | 오은혜 | 부산의대 | 팽대부마루결석 양성돌발두위현훈에서 두진법과 유양돌기 진동자극법의 치료 효과: 전향적 무작위배정 비교 연구 |
2018 | 최문희 | 아주의대 | 급성 뇌경색 환자 유래 혈전 조직 분석을 통한 약물 반응성 예측 연구 |
2017 | 김여진 | 한림의대 | 피질하 혈관성 인지장애 환자의 보행장애 원리 규명 |
2016 | 송태진 | 이화의대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환자에서 지속양압치료가 뇌혈관 운동반응성과 중심혈압에 미치는 영향 |
2015 | 이순태 | 서울의대 | 자가면역성 뇌염의 새로운 원인 항체 발굴 |
2014 | 박형준 | 이화의대 | 한국인 얼굴어깨상완근디스트로피에서 변경유전자(modifier gene)의 탐색 |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2007
2006
2005
2004
2003
2025
2024
2023
2022
2021
연도 | 수상자 | 소속 | 수상논문 |
---|---|---|---|
2024 | 김건하 | 이화의대목동병원 | 항아밀로이드 치료의 효능 및 안전성에 미치는 요인 규명을 위한 다기관 Real World Data Platform 구축 |
2023 | 권영남 | 연세대세브란스병원 | 조기 미엘린희소돌기아교세포당단백질-항체 관련 질환에서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발굴 및 예후관련 인자 조사연구: 전국 코호트 연구 |
2022 | 박홍균 | 인제대일산백병원 | 약물과용두통 전향적 다기관 레지스트리 연구 |
2021 | 이서영 | 강원대학교 |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뇌전증 환자의 사회경제적 예후에 대한 연구 |
2020 | 김경민 | 연세의대 | 두통과 수면의 연주기변화 연구 |
2019 | 류철형 | 연세의대 | 파킨슨병치매와 루이소체치매의 생체내 타우, 아밀로이드 단백 분포 패턴에 대한 종적연구 |
2018 | 문혜진 | 순천향의대 |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한 뇌전증의 사망률에 대한 연구 |
2017 | 서우근 | 성균관의대 | 한국의 임상현장에서 심방세동을 동반한 급성 뇌경색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예후를 연구하기 위한 다기관, 후향적 코호트 연구 |
2016 | 조수진 | 한림의대 | 군발두통환자 식별을 위한 스크린 문항 개발 연구 |
2015 | 서상원 | 성균관의대 | 치매의 위험인자 및 예방인자 탐색을 위한 역학 연구 |
2014 | 권형민 | 서울의대 | 일일 기상인자와 급성기 뇌졸중 발생의 상관관계 규명 |
2013 | 최광동 | 부산의대 | 후천성 안구운동신경마비의 원인과 예후 - 전향적, 후향적 다기관 관찰 연구 |
2012 | 홍승봉 | 성균관의대 | 신경계질환에서 우울증의 유병률 조사: 뇌졸중, 치매, 간질, 파킨슨병 |
2011 | 조아현 | 가톨릭의대 | Dynamic Change of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Over Time: Quantitative Volume Analysis Based on FLAIR image |
2010 | 김원주 | 연세의대 | 한국 인구집단에서 수면건강상태, 수면질환, 심뇌혈관 질환에 대한 역학조사 |
2009 | 배종석 | 인제의대 | 국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진단, 치료현황에 대한 다기관 공동연구 및 전향적 등록체계의 구축 |
2008 | 김한준 | 서울의대 | 우리나라의 척수소뇌실조증의 지역적 분포에 관한 연구 |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연도 | 수상자 | 소속 | 수상논문 |
---|---|---|---|
2024 | 남기웅 |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 혈관 위험 인자들을 이용한 단일 눈운동 신경 마비의 예후 예측 모델: 다기관 연구 |
2023 | 허준녕 | 연세대세브란스병원 | 경동맥 잡음을 감별하는 스마트폰용 딥러닝 모델의 대규모 검증 |
2022 | 김예림 | 한림대강동성심병원 |
스타틴 장기사용의 치매 안전성 평가를 위한 새로운 빅데이터연구방식인 공통데이터모델을 이용한 다기관 대상 분산형 연구망 분석 (영문: Risk of Long-term Use of Statin on Dementia Using OMOP-CDM (Observational Medical Outcome Partners-Common Data Model) - a New Big data Research method) |
연도 | 수상자 | 소속 | 수상논문 |
---|---|---|---|
2024 | 이동아 | 인제대해운대백병원 | Differences of the drug response according to glymphatic system function in neurological disorders |
조성양 | 서울아산병원 | 퇴행성 뇌신경질환에서 혈액 내 mitochondria DNA copy number 감소의 기전연구 | |
2023 | 백설희 | 고려대안암병원 | 운동신경원질환에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모델을 위한 고해상도 및 초고해상도 MRI 기반 영상 바이오마커 개발 |
이우진 | 분당서울대병원 | 난치성뇌전증중첩상태 치료 최적화를 위한 질병 활성도 평가 및 약물 반응 예측 시스템 개발 | |
2022 | 김근태 | 계명대동산병원 | 응급실을 방문한 의식장애: 다기관 연구 |
박진성 | 칠곡경북대병원 | 국내 케네디병 환자들의 자연사 코호트 구축 및 병태 생리 기전 연구 | |
2021 | 박진 | 이화의대서울병원 | 연속적 생체신호 데이터와 조기경고점수를 이용한 중증신경계질환 환자의 급성악화 예측모델 개발 |
신정환 | 서울대병원 | 파킨슨병의 진행에 따른 기저핵 신경네트워크 변화 분석을 통한 새로운 치료전략 개발 | |
2020 | 유한수 | 연세의대 | 비형질전환 생쥐에서 병적 알파시누클레인의 전파를 통한 렘수면행동장애 및 파킨슨 증상의 방별에 관한 연구 |
이은재 | 울산의대 | 지질체(lipidomics) 기술 기반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혈액 바이오마커 개발 | |
2019 | 김률 | 서울의대 | 보행동결의 기전을 찾기 위한 가상현실을 이용한 뇌영상분석 |
현재원 | 국립암센터 | 한국 중추신경계 염증성 질환에서 진단 및 치료 반응 표지자로서의 항 Myelin oligodendrocyte glycoprotein (MOG) | |
2018 | 김범준 | 경희의대 | 3D printing을 이용한 뇌혈관 모델 개발 및 혈역학적 인자가 뇌경색 발병에 미치는 영향 |
정종원 | 성균관의대 | 고해상도 자기공명영상 자동화 분석기법을 이용한 두개내동맥 협착의 병리학적 진단기술 개발 | |
2017 | 김범준 | 서울의대 | Treatment decision making in hyperacute strokes based on the initial perfusion imaging: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roke image registry |
박강민 | 인제의대 | Topological organization of brain network in patients with epilepsy using a graph theoretical analysis | |
2016 | 김준순 | 서울의대 | 만성염증성탈수초성다발성신경병증 환자에서 말초혈액 B 세포 miRNA 프로파일링을 통한 바이오마커 발굴에 관한 연구 |
최정윤 | 서울의대 | 회전의자검사를 이용한 공간지남력의 장애(어지럼)의 새로운 검사법 개발 | |
2015 | 김치경 | 서울의대 | 급성기 뇌경색 중재시술 중 재개통과 재관류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ESCAPE 임상시험 기반 중재시술 중 혈관조영 촬영에 관한 연구 |
박정이 | NIH | 뇌자기자극을 이용한 서경(書痙) 환자군의 후측 두정 피질과 복부 전운동 피질의 기능적 연결성에 대한 연구 |
|
2014 | 김영은 | 한림의대 | 신경계 퇴행성 질환의 장기 예후 향상을 위한 운동재활 치료법 개발 |
문장섭 | 서울의대 | Next generation sequencing을 이용한 신경계 감염의 신종 병원체 규명 방법에 대한 연구 |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연도 | 수상자 | 소속 | 수상논문 |
---|---|---|---|
2024 | 김고운 | 전북대병원 | 인지저하에 대한 디지털 표현형(Digital Phenotyping) 연구 |
김준호 | 연세대세브란스병원 | The contribution of somatic mutations causing RAS pathway over-activation in temporal lobe epilepsy through abnormal hippocampal neurogenesis | |
2023 | 유정암 | 삼성서울병원 | 신경중환자의 효과적인 인공호흡기 중단을 위한 연구 |
한희조 | 연세대세브란스병원 | 근위축측삭경화증 환자의 면역 및 장마이크로바이옴 특성 분석 | |
2022 | 박계원 |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파킨슨병 모니터링의 다국적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연합학습 모델 구축 |
조은빈 |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 | Autonomic Neurology | |
2021 | 장윤혁 | 국군서울지구병원 | Rare Neurological Diseases Antisense Oligonucleotide (ASO) therapy |
최고은 | 가톨릭대학교 중앙의료원 | 파킨슨 환자의 턱 밑 침샘에서 보이는 α-synucleinopathy에 대한 후성유전학적 조절 (epigenetic regulation) 에 대한 연구 | |
2020 | 김재호 | Brigham and Women's Hospital, Harvard Medical School |
알츠하이머병 치매 치료용 집중초음파 조절시스템(뇌약물전달) 개발 |
김기태 | 분당서울대병원 | Mild Traumatic Brain Injury 환자의 안구 이향운동 분석을 통한 미만성 미세 뇌병변 진단 및 재활 연계 프로그램 개발 | |
2019 | 김현진 | 울산의대 | 상포진후신경통 환자의 HLA genotyping을 통해 유전적 위험인자를 탐색, HLA variants 와 수두 바이러스 펩타이드의 결합 친화력 예측 모델로 병리기전 연구 |
박진우 | 고려의대 | Synucleinopathy에서 Supine hypertension이 morbidity와 mortality에 미치는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