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개 학회소개 전문의 전공의 학회지 학술행사 자료실 회원공간 온라인 신청 공지사항 인사말 학회 회칙 학회 연혁 미션과 비전 역대 현황 위원회 역대 시상 공지사항 유관기관 공지사항 신경과 회보 인접학회 학회 사무국
글쓰기 * 표시는 필수입력 항목입니다. 작성자 대한신경과학회 * 제목 공지 Main 노출 Link URL * 공개 여부 공개 비공개 * 팝업 설정 미사용 사용 팝업 템플릿 없음 템플릿1 템플릿2 템플릿3 미리보기 팝업 내용 선택 공지 내용과 동일 팝업 내용 새로 작성 팝업 사이즈 사이즈 : X 위치 : 위에서 px, 왼쪽에서 px 팝업 자세히 보기 설정안함 설정함 팝업 LINK 팝업 시작 / 종료일 ~ <P> </P> <P><STRONG>* VNG소송 관련하여 급여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에 아래 기사와 함께 알려드립니다*^^*</STRONG></P> <P> </P> <P> </P> <DIV> <P class=MsoNormal><STRONG><B><FONT color=#484848 size=3 face=굴림><SPAN style="FONT-FAMILY: 굴림; COLOR: #484848; FONT-SIZE: 12pt">검사료 무더기 환수하자<SPAN lang=EN-US> 58</SPAN>명 소 제기…법원<SPAN lang=EN-US> "</SPAN>보험 인정해<SPAN lang=EN-US>!" </SPAN></SPAN></FONT></B></STRONG><SPAN lang=EN-US><?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P> <P class=MsoNormal><FONT size=3 face=Symbol><SPAN style="FONT-FAMILY: Symbol; FONT-SIZE: 12pt" lang=EN-US>·</SPAN></FONT><SPAN lang=EN-US> </SPAN>기사입력<SPAN lang=EN-US> <?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st1:date w:st="on" o:ls="trans" Day="7" Month="4" Year="2012">2012-04-07</st1:date> <st1:time w:st="on" o:ls="trans" Minute="45" Hour="18">06:45</st1:time> <o:p></o:p></SPAN></P><!--기사본문--> <DIV style="MARGIN-TOP: 7.5pt"> <DIV id=NEWS_CONTENT> <P style="TEXT-ALIGN: right; LINE-HEIGHT: 15pt" class=MsoNormal align=right><st1:PersonName w:st="on"><FONT size=2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1pt">안창욱</SPAN></FONT></st1:PersonName><FONT size=2><SPAN style="FONT-SIZE: 11pt"> 기자<SPAN lang=EN-US> (<A href="mailto:news@medicaltimes.com" target=_blank><FONT color=#0000ff>news@medicaltimes.com</FONT></A>)<o:p></o:p></SPAN></SPAN></FONT></P> <P style="LINE-HEIGHT: 15pt; MARGIN-BOTTOM: 12pt" class=MsoNormal><FONT size=2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1pt">서울행정법원은 비디오전기안진기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급여항목인<SPAN lang=EN-US> ''''</SPAN>평형기능검사<SPAN lang=EN-US>(</SPAN>전기안진검사<SPAN lang=EN-US>)''''</SPAN>를 했다면 이를 급여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결했다<SPAN lang=EN-US>. <BR><BR><o:p></o:p></SPAN></SPAN></FONT></P> <TABLE style="WIDTH: 225pt; MARGIN-RIGHT: 3.75pt" class=MsoNormal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300 align=left> <TBODY> <TR> <TD style="PADDING-BOTTOM: 0cm; PADDING-LEFT: 0cm; PADDING-RIGHT: 0cm; PADDING-TOP: 0cm"> <P style="mso-element: frame" class=MsoNormal><FONT size=3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2pt" lang=EN-US><!-- Not Allowed Attribute Filtered --><IMG border=0 src="http://www.neuro.or.kr/newnotice/files/1074064_1.jpg" width=300 height=198><o:p></o:p></SPAN></FONT></P></TD></TR></TBODY></TABLE> <P style="LINE-HEIGHT: 15pt; MARGIN-BOTTOM: 12pt" class=MsoNormal><st1:PersonName w:st="on"><FONT size=2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1pt">심평원</SPAN></FONT></st1:PersonName><FONT size=2><SPAN style="FONT-SIZE: 11pt">은 비디오전기안진기를 사용한 후 건강보험 급여를 청구한<SPAN lang=EN-US> 120</SPAN>개 병의원에 대해<SPAN lang=EN-US> 62</SPAN>억원을 환수했지만 의료기관의 집단 행정소송에서 패소함으로써 무리한 삭감 잣대를 들이댔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SPAN lang=EN-US>.<BR><BR></SPAN>서울행정법원은<SPAN lang=EN-US> 6</SPAN>일 신촌연세이비인후과 정운교 원장을 포함한 이비인후과<SPAN lang=EN-US>, </SPAN>신경과 전문의<SPAN lang=EN-US>, </SPAN>종합병원 등<SPAN lang=EN-US> 58</SPAN>개 병의원과 원장들이 <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을 상대로 청구한 요양급여환수처분 취소소송에 대해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SPAN lang=EN-US>. <BR><BR></SPAN>원고들은 비디오전기안진기를 이용한<SPAN lang=EN-US> ''''</SPAN>평형기능검사<SPAN lang=EN-US>(</SPAN>전기안진검사<SPAN lang=EN-US>)''''</SPAN>를 한 후 <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에 요양급여 또는 의료급여 비용을 청구해 왔다<SPAN lang=EN-US>. <BR><BR></SPAN>평형기능검사는<SPAN lang=EN-US> 2001</SPAN>년<SPAN lang=EN-US> 1</SPAN>월부터 요양급여로 인정받았다<SPAN lang=EN-US>. <BR><BR></SPAN>그러나 <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은<SPAN lang=EN-US> 2011</SPAN>년<SPAN lang=EN-US> 3</SPAN>월 이비인후과<SPAN lang=EN-US>, </SPAN>신경과를 포함한 의료기관들이<SPAN lang=EN-US> 2005</SPAN>년<SPAN lang=EN-US> 6</SPAN>월부터<SPAN lang=EN-US> 2010</SPAN>년<SPAN lang=EN-US> 6</SPAN>월까지 비디오전기안진기를 사용해 전기안진검사를 했지만 이를 비급여 항목인<SPAN lang=EN-US> ''''</SPAN>비디오전기안진검사<SPAN lang=EN-US>''''</SPAN>로 간주했다<SPAN lang=EN-US>.<BR><BR></SPAN>이에 따라 이들 의료기관은 <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으로부터 요양급여<SPAN lang=EN-US>, </SPAN>의료급여 무더기 환수처분을 받았다<SPAN lang=EN-US>. <BR><BR></SPAN>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st1:PersonName w:st="on">주승용</st1:PersonName>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은<SPAN lang=EN-US> 120</SPAN>개 병의원이 비디오전기안진기를 사용하고도<SPAN lang=EN-US> 12</SPAN>만<SPAN lang=EN-US> 4</SPAN>천건을 급여로 부당청구했다며<SPAN lang=EN-US> 62</SPAN>억원을 환수했다<SPAN lang=EN-US>. <BR><BR></SPAN>그러자 이들<SPAN lang=EN-US> 58</SPAN>개 의료기관과 전문의들은 환수처분에 불복<SPAN lang=EN-US>, </SPAN><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을 상대로 집단 행정소송에 들어갔다<SPAN lang=EN-US>. <BR><BR></SPAN>이들 의료기관은<SPAN lang=EN-US> "</SPAN>건강보험 수가체계는 진료에 사용한 의료기기에 따라 급여<SPAN lang=EN-US>, </SPAN>비급여를 구분하는 게 아니라 의료행위가 어떤 종류인지에 따라 급여<SPAN lang=EN-US>, </SPAN>비급여를 구분해야 한다<SPAN lang=EN-US>"</SPAN>고 못 박았다<SPAN lang=EN-US>. <BR><BR></SPAN>비디오전기안진기를 이용했다 하더라도 검사 내용이 급여 항목인 전기안진검사라면 급여 대상으로 봐야 하며<SPAN lang=EN-US>, </SPAN>이 검사를 비급여 항목인 비디오전기안진검사로 간주해 환수한 것은 위법이라는 주장이다<SPAN lang=EN-US>. <BR><BR><o:p></o:p></SPAN></SPAN></FONT></P> <TABLE style="WIDTH: 225pt; MARGIN-RIGHT: 3.75pt" class=MsoNormalTable border=0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300 align=left> <TBODY> <TR> <TD style="PADDING-BOTTOM: 0cm; PADDING-LEFT: 0cm; PADDING-RIGHT: 0cm; PADDING-TOP: 0cm"> <P style="mso-element: frame" class=MsoNormal><FONT size=3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2pt" lang=EN-US><!-- Not Allowed Attribute Filtered --><IMG border=0 src="http://www.neuro.or.kr/newnotice/files/1074064_2.jpg" width=300 height=225><o:p></o:p></SPAN></FONT></P></TD></TR> <TR style="HEIGHT: 16.5pt" height=22> <TD style="PADDING-BOTTOM: 3.75pt; PADDING-LEFT: 3.75pt; PADDING-RIGHT: 3.75pt; HEIGHT: 16.5pt; PADDING-TOP: 3.75pt" height=22> <P style="LINE-HEIGHT: 12pt; mso-element: frame" class=MsoNormal><FONT size=3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2pt" lang=EN-US> </SPAN>▲ 비디오전기안진검사를 하는 모습<SPAN lang=EN-US><o:p></o:p></SPAN></FONT></P></TD></TR></TBODY></TABLE> <P style="LINE-HEIGHT: 15pt" class=MsoNormal><FONT size=2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1pt">과거에는 전기안진기로 전기안진검사를 했지만<SPAN lang=EN-US> 10</SPAN>여년 전 비디오전기안진기가 도입되면서 현재는 이를 사용한 전기안진검사가 보편화되고 있다<SPAN lang=EN-US>. <BR><BR></SPAN>이에 대해 재판부는<SPAN lang=EN-US> "</SPAN>진료에 사용한 의료기기의 종류에 의한 것보다 의료행위의 종류에 따라 급여나 비급여 항목을 구분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SPAN lang=EN-US>"</SPAN>며 원고들의 주장을 받아들였다<SPAN lang=EN-US>. <BR><BR></SPAN>이어 재판부는<SPAN lang=EN-US> "</SPAN>이런 관점에서 보면 비디오전기안진기와 전기안진기로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면 그 결과도 동일하게 나오기 때문에 이는 환자에게 동일한 의료행위를 제공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SPAN lang=EN-US>"</SPAN>고 환기시켰다<SPAN lang=EN-US>. <BR><BR></SPAN>또 재판부는 명백히 비급여 항목으로 규정된 의료행위가 아니라면 검사나 진료를 받는 환자들이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범위를 넓게 인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SPAN lang=EN-US>. <BR><BR></SPAN>재판부는<SPAN lang=EN-US> "</SPAN>복지부 고시에서 비급여 항목인 비디오전기안진검사에 대한 행위설명을 따르더라도 안구의<SPAN lang=EN-US> 3</SPAN>차원적 움직임을 볼 수 있는 검사를 한 때만을 의미한다고 볼 여기가 있다<SPAN lang=EN-US>"</SPAN>고 덧붙였다<SPAN lang=EN-US>. <BR><BR></SPAN>통상 보험급여가 되는 전기안진검사만으로 어지럼증 등의 원인이 밝혀지면 검사를 마치고 치료에 들어가지만 이 검사에서 원인이 밝혀지지 않으면 비급여인 비디오전기안진검사를 시행한다<SPAN lang=EN-US>. <BR><BR></SPAN>재판부는<SPAN lang=EN-US> "</SPAN>비디오전기안진기를 통한 검사후 급여와 비급여 부분을 분리해 청구하는 것은 전기안진검사만으로 어지럼증 등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것에 한하는 것<SPAN lang=EN-US>"</SPAN>이라고 밝혔다<SPAN lang=EN-US>. <BR><BR></SPAN>급여 부분과 비급여 부분의 검사 내용이 구별되기 때문에 이를 두고 이중으로 비용을 청구하는 것이라거나 과잉진료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게 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SPAN lang=EN-US>. <BR><BR></SPAN>이에 따라 재판부는<SPAN lang=EN-US> "</SPAN>비디오전기안진기를 사용했다 하더라도 수평수직운동만을 검사한 전기안진검사는 이를 급여항목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SPAN lang=EN-US>"</SPAN>면서<SPAN lang=EN-US> "</SPAN>이런 점에서 <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의 처분은 위법하다<SPAN lang=EN-US>"</SPAN>고 판시했다<SPAN lang=EN-US>. <BR><BR></SPAN>소송에 참여한 <st1:PersonName w:st="on">송병호</st1:PersonName><SPAN lang=EN-US>(</SPAN>미래이비인후과의원<SPAN lang=EN-US>) </SPAN>원장은<SPAN lang=EN-US> "</SPAN>과거<SPAN lang=EN-US> 10</SPAN>년 이상 건강보험이 적용된 검사를 하루 아침에 환수하는 것은 상식밖<SPAN lang=EN-US>"</SPAN>이라고 꼬집었다<SPAN lang=EN-US>. <BR><BR></SPAN>이어 그는<SPAN lang=EN-US> "</SPAN><st1:PersonName w:st="on">심평원</st1:PersonName>이 이 검사를 보험급여로 불인정함에 따라 의료기관들은 해당 검사비를 비급여로 받을 수밖에 없었다<SPAN lang=EN-US>"</SPAN>면서<SPAN lang=EN-US> "</SPAN>이로 인해 환자들은 같은 검사를 받고도 많게는<SPAN lang=EN-US> 10</SPAN>만원 이상 추가 부담해 온 게 현실<SPAN lang=EN-US>"</SPAN>이라고 지적했다<SPAN lang=EN-US>. <o:p></o:p></SPAN></SPAN></FONT></P> <DIV> <P style="LINE-HEIGHT: 15pt; MARGIN-BOTTOM: 5.25pt; MARGIN-LEFT: 0cm; MARGIN-RIGHT: 0cm; mso-margin-top-alt: 8.25pt"><STRONG><B><FONT size=1 face=돋움><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 lang=EN-US>[</SPAN></FONT></B></STRONG><STRONG><B><FONT size=1 face=돋움><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출처<SPAN lang=EN-US>]</SPAN></SPAN></FONT></B></STRONG><FONT size=1 face=돋움><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 lang=EN-US> <A href="http://blog.naver.com/dha826/60159786962" target=_blank><SPAN lang=EN-US><SPAN lang=EN-US>심평원, </SPAN></SPAN><SPAN lang=EN-US><SPAN lang=EN-US>이비인후과·신경과</SPAN></SPAN><SPAN lang=EN-US><SPAN lang=EN-US> </SPAN></SPAN><SPAN lang=EN-US><SPAN lang=EN-US>집단소송에서</SPAN></SPAN><SPAN lang=EN-US><SPAN lang=EN-US> </SPAN></SPAN><SPAN lang=EN-US><SPAN lang=EN-US>참패</SPAN></SPAN><SPAN lang=EN-US><SPAN lang=EN-US> </SPAN></SPAN></A>|</SPAN></FONT><STRONG><B><FONT size=1 face=돋움><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작성자</SPAN></FONT></B></STRONG><FONT size=1 face=돋움><SPAN style="FONT-FAMILY: 돋움; FONT-SIZE: 9pt"> <SPAN lang=EN-US><A href="http://blog.naver.com/dha826" target=_blank><SPAN lang=EN-US><SPAN lang=EN-US>메디홀릭</SPAN></SPAN></A><o:p></o:p></SPAN></SPAN></FONT></P></DIV></DIV></DIV></DIV> <DIV> <P class=MsoNormal><FONT size=3 face=굴림><SPAN style="FONT-SIZE: 12pt" lang=EN-US> <o:p></o:p></SPAN></FONT></P></DIV> 취소 수정